티스토리 뷰

건강한 삶

레이노 증후군 증상 치료 정리

좋은 정보 포스팅 2021. 1. 25. 15:56

레이노 증후군이란?

 

 

레이노 현상은 추위에 노출시 손가락이나 발가락 끝이 창백하게 변하고, 곧이어 퍼렇게 변하고, 회복단계에서는 붉은 색으로 변하면서 원래 색으로 돌아오는 현상을 말합니다.

 

레이노 현상은 매우 흔한 증상으로 인구의 10%정도에서 나타나며 젊은 여자에서는 20-30% 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는 말초혈관의 이상반응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말단부의 혈류에 장애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레이노 현상이 원인질환이 없이 나타날 때 일차성 레이노 증후군, 원인 질환이 동반되는 경우 이차성 레이노 증후군으로 불립니다. 

 

원인질환으로는 피부 경화증,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등의 여러 가지 류마티스 질환이 있고 이 질환들에 레이노 현상이 높은 빈도로 동반됩니다. 

 

피부가 딱딱해지는 피부경화증의 경우 환자의 80-90% 에서 레이노 현상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또한 동맥경화증, 동맥폐쇄질환, 폐동맥고혈압, 신경 질환, 혈액 질환들도 레이노 현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원인질환에 대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레이노 현상은 생활방식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진동성 전기톱이나 수동착암기 같은 공구를 사용하는 사람에게도 가끔 발생합니다. 

 

피아니스트나 타이피스트들도 레이노 현상의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흡연이나 일부 약물도 레이노 현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레이노 증후군을 유발하는 원인들 입니다.

 

1. 전신피부경화증 환자의 80~90%에서 레이노 증후군이 나타나며, 30%에서는 첫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2. 전신성 홍반성 낭창(SLE) 환자의 20%에서 레이노 증후군이 나타납니다.

 

3. 피부근염, 다발성근염 환자의 30%에서 나타납니다.

 

4.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도 흔히 일어나는데 이는 손발가락의 혈관을 둘러싸고 있는 내막 세포 증식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5. 사지의 동맥경화는 50세 이상의 남자에서 레이노 증후군을 흔하게 발생시킵니다.

 

6. 폐고혈압 환자에서 레이노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연히 동시에 생겼다기 보다는 신경호르몬 이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7. 직업상 전기톱이나 착암기와 같은 진동하는 연장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일어나기도 합니다. 피아니스트나 타자를 치는 직업에서도 증가합니다.

 

8. 손가락에 전기적 손상을 입었거나 동상도 훗날 레이노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9. ergot 제제, methysergide, B-blocker, bleomycin, vinblastine, cisplatin 과 같은 약물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레이노 증후군의 특징 

 

 

레이노 현상을 갖는 사람의 50% 이상이 레이노 증후군입니다.

 

여자에서 남자보다 5배 이상 많으며 주로 나타나는 연령은 20~40대 입니다.

 

발가락보다 손가락을 더 잘 침범합니다. 

 

처음엔 한두 손가락 끝만 침범하다가 한 손가락 전체 또는 모든 손가락을 침범하기도 합니다.

 

40%의 환자에선 발가락을 침범합니다.

 

드물지만 귓볼이나 코끝, 생식기를 침범하기도 합니다.

 

편두통이나 이형 협심증을 갖는 사람과도 관련이 있는데 혈관이 수축하는 기전에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신체검사 소견은 흔히 전반적으로 정상입니다. 

 

손가락과 발가락에서 차갑고 때로 땀이 날 수 있습니다.

 

3. 10%의 환자에서 손발가락의 피하조직이 두껍고 단단해 집니다.

 

 

레이노 증후군 증상은?

 

레이노 현상은 일시적인 사지 말단의 허혈이 특징입니다. 

 

즉 추위에 노출시 손가락이나 발가락 끝이 창백하게 변하는 허혈 증상이 나타나고, 곧 이어 퍼렇게 변하고, 회복단계에서는 붉은 색으로 변하면서 원래 색으로 돌아오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삼단계 색 변화가 레이노 현상의 특징이지만, 일부 환자들은 창백과 청색증만을 보이기도 하고, 어떤 환자들은 청색증만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1. 레이노 증후군은 일시적으로 손가락과 발가락에 피 공급이 줄어드는 것이 특징입니다. 

 

2. 추위에 노출되었다가 따뜻해지면 손가락과 발가락이 창백하게 되었다가 청색증 그리고 붉은색으로 차례대로 나타납니다. 색의 변화는 대부분 경계가 뚜렷하며 손가락과 발가락에만 나타납니다. 

 

3. 추운 환경에 노출되거나 찬 물체를 만질 때 한개 이상의 손발가락이 하얗게 됩니다. 하얗게 되는 이유는 혈관들이 수축을 하게되고 그 상태가 지속되면 모세혈관과 소정맥이 확장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 혈관들에 있는 환원된 색소 때문에 청색증이 발생합니다. 이때 손발가락이 차갑고 저리고 감각이상이 발생합니다.

 

4. 따뜻하게 되면 혈관 수축이 풀리고 피가 원활하게 공급돼 모세혈관에 혈류가 증가합니다. 모세혈관에 혈류가 증가하게 되면 손발가락이 밝은 붉은 빛이 돌고 박동성 통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5. 창백, 청색증, 발적 세 가지 색깔 변화가 일어날 수도 있지만 사람에 따라서 창백, 청색증만 나타날 수 있고 청색증 한 가지만 나타나기도 합니다.

 

 

 

레이노 증후군 진단방법은?

 

병력 청취와 유발검사로 진단 할 수 있습니다. 

 

원인 질환이 있는지 검사해야 합니다. 

 

레이노 현상이 느껴지면 전문의의 진찰을 받아 원인 질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레이노 증후군 치료방법은?

 

 

경한 증상은 생활방식을 개선함으로써 증상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트레스를 피하고 금연은 필수적입니다. 

 

항상 손, 발 뿐 아니라 몸 전체를 추위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바깥 활동 시에 주의해야 합니다. 

 

손 끝이 헐거나 궤양이 생기면 의사와 바로 상의하여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게 해야 합니다. 

 

심한 경우는 레이노 현상을 개선시키는 약물을 투여합니다. 

 

때로는 교감신경 절단술 등의 수술적 치료를 요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원인 질환이 없는 일차성 레이노 증후군은 대부분 이러한 치료에 효과가 좋으며 15%의 환자는 특별한 치료 없이도 호전됩니다. 

 

그러나 드물게는 말초혈액순환의 장애로 인한 후유증을 겪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합니다. 

 

이차성 레이노 증후군은 원인질환을 잘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면 류마티스 질환에 동반된 레이노 증후군은 류마티스 전문의에게 원인질환을 지속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1% 미만의 환자에서만 손발가락의 일부를 잃고, 진단이 내려진 후 약 15%의 환자는 저절로 좋아지고 30%에서는 병이 진행됩니다.

 

1. 대부분의 레이노 증후군을 갖는 환자들에게서 증상이 가볍게 나타납니다. 그렇기 때문에 레이노 증후군이 있는 부위를 따뜻하게 입고 추위에 노출되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 장갑 외에도 추위에 위한 혈관 수축을 막기 위해 몸통이나 머리, 발을 따뜻하게 입어야합니다.

 

2. 약물치료는 심한 경우에 사용하게 됩니다. dihydropryridine 계열 칼슘 차단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레이노 증후군의 빈도와 강도를 줄입니다.

 

그 외에 Diltiazem, prazosin, doxazosin, terazosin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이렇게 약물치료에도 반응하지 않으면 교감신경절단술을 해 볼 수 있겠습니다.

'건강한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게릭병 증상 정리  (0) 2021.02.02
천식 증상 치료법 정리  (0) 2021.02.02
복부 대동맥류 증상 정리  (0) 2021.01.25
심혈관 질환이란 예방법 정리  (0) 2021.01.22
섬망증상 원인 치료 정리  (0) 2021.01.22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