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어지러우면 빈혈?
주위 사람들이 이러한 말을 하는 것을 한번 쯤 들으셨을겁니다.
어지러우면 빈혈일까요?
아닙니다.
빈혈의 정의는 혈색소를 기준으로 합니다.
나이에 따라 다르고 상황에 따라 혈색소의 기준이 다르므로 자신이 어떠한 상태에 있는지에 따라 진단이 달라집니다.
다시한번 말씀드리면 빈혈의 진단은 헤모글로빈 수치로 합니다.
빈혈의 증상은 무엇일까?
그러면 빈혈의 증상은 대체 무엇일까요?
빈혈의 가장 많은 원인을 차지하는 철 결핍성 빈혈의 증상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빈혈의 대표적인 4대 증상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창백해 보임
피로함
경미한 어지러움
허약
하지만 이러한 증상을 보인다고 해서 빈혈인 것은 아닙니다.
연구에서 4가지 증상 중에서 빈혈과 가장 관계가 높은 증상은 창백이였습니다.
하지만 빈혈인 경우 창백해 보이는 환자는 28% 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위의 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빈혈을 의심해 볼 수 있으나 혈액을 채취하여 실제 빈혈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철 결핍 빈혈의 경우 위의 증상 이외에 아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초조함
협심증 증상
가슴 두근거림
숨이참
감각이상, 저릿저릿한 느낌
피부염
숟가락 모양의 손톱, 깨지기 쉬운 손톱
식욕 부진
하지불안 증후군
빈혈 증상은 누구에게서 자주 나타나나요?
철결핍성 빈혈은 소아에서는 생후 6개월에서 3세 사이가 가장 많습니다.
급격하게 성장을 보이는 11세에서 17세 사이에서도 빈혈 증상이 자주 나타납니다.
소아 빈혈의 증상
빈혈은 서서히 일어납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정도 진행하기 까지 모르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헤모글로빈 수치가 5~6g/dL 정도까지 떨어져도 피부점막이 약간 창백할 정도인 경우가 많습니다.
소아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식욕이 없어짐
기분이 좋지 않음
주위에 대한 관심이 적어짐
잘 보챔
기운이 없음
활동이 줄어듦
감염질환에 더 잘 걸림
성장지연
면역이상
체온 조절 이상
식욕이 떨어지기 때문에 잘 먹지 않게 되고 철분의 섭취가 더 떨어져 악순환을 반복하게 됩니다.
이러한 악순환을 막기 위해 소아의 경우 빈혈이 의심되면 빠른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빈혈의 주요 원인은?
빈혈의 대부분의 원인은 철결핍 빈혈입니다.
그러면 철결핍은 대체 왜 생기는 것일까요?
철분 섭취가 부족해서라고 생각하신다면 1/4짜리 정답입니다.
철분 섭취 부족 외에도
출생시 철을 적게 가지고 태어난 경우
철의 수요량이 커지는 경우
피를 흘리는 경우가 있습니니다.
이를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철을 적게 가지고 태어난 경우
미숙아
쌍둥이
태아 실혈
분만시 출혈
신생아에서 철분의 저장은 임신 말기에 이루어집니다.
미숙아의 경우에는 임신 말기에 충분히 철분을 저장하는 시간이 부족하게 되고 철을 적게 가지고 태어나게 됩니다.
또한 임신할 때에 출혈이 심할 경우에도 철의 저장이 충분하지 못하게 됩니다.
철의 수요량이 커지는 경우
미숙아
성장속도가 빠른 영아
성장속도가 빠른 사춘기
철의 수요량이 커지는 경우에도 빈혈이 발생합니다.
신생아의 경우에 저장된 철분은 대략 출생이후 3개월에서 6개월정도가 지나면 거의 소진해 버립니다.
하지만 미숙아의 경우에는 2개월이면 엄마에게서 받은 철분을 다 소진해 버립니다.
미숙아의 경우에는 저장철이 부족한데다가 성장속도가 아주 빠르기 때문에 빈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영아기에는 성장속도가 빠르므로 철의 수요량이 급격하게 늘어납니다.
3개월에서 6개월까지는 엄마에게서 받은 철분으로 피의 생산이 충당이 되지만 그 이후에는 부족하기 때문에 외부에서부터 철의 섭취가 원활하지 않으면 철 결핍을 초래하게 됩니다.
영아는 철분에 대해서 불안정한 상태이므로 철분 섭취가 적게될경우에는 급속하게 빈혈상태가 됩니다.
청소년기 역시 성장이 빠르기 때문에 철 수요량이 높아서 빈혈이 발생할 위험성이 높습니다.
철분 섭취 부족
철분이 부족한 식사
만성 설사
위장관 이상
유아의 경우에 모유나 우유만으로 오랫동안 영양을 섭취했을 때 철분이 부족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질병으로 철분을 흡수를 못해 빈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성 설사나 위장관 이상으로 철분 섭취가 부족한 경우 철결핍성 빈혈이 발생합니다.
피를 흘리는 경우
기생충
위궤양
코피
메켈 게실
대장 폴립
월경과다
3세 이상에서 철결핍 빈혈인 경우에는 철분 섭취가 부족해서 빈혈이 발생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만성적으로 피를 흘려 빈혈이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위장관의 원인이 대부분인데 여기에는 위궤양과 메켈 게실, 대장 폴립, 염증성 장질환이 해당됩니다.
일부지역에서는 기생충에 의해서 빈혈이 나타날 수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드뭅니다.
여성의 경우에는 매달마다 월경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혈로 인하여 철결핍성 빈혈이 발생할 위험이 높습니다.
'건강한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레르기 비염 면역주사 정리 (0) | 2021.02.24 |
---|---|
소아당뇨 증상 원인 정리 (1) | 2021.02.24 |
부비동염 증상 치료 정리 (0) | 2021.02.22 |
기흉 수술 치료 정리 (0) | 2021.02.19 |
기흉이란 증상 정리 (0) | 2021.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