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협심증 약물치료 90% 이상의 경우, 바로 심혈관질병 치료법을 처방 하게 되며, 만일 환자에게 차도가 없을 경우나 불안정형 협심증 관련 증상이 보일 경우 바로 관상동맥 조영술을 권하게 된다. 안정형 협심증이 진단 되었을 경우, 다음과 같은 약물을 우선적으로 처방하게 된다. 아스피린(aspirin) 베타 차단제 니트로글리세린 스타틴 계열 약물 니트로글리세린을 혀 밑에 넣고 녹이게 하는 것이 있다. 녹여 섭취하게 하며, 절대로 삼키지 말아야 한다. 사실 협심증 환자들은 대부분 복용 방법을 알고 있지만, 처음 협심증이 발생한 환자라면 모를수도 있다. 그리고 약 맛이 특이하여야 하는데, 쏘는 맛 등의 특이한 맛이 나야 효과가 있다. 만약 아무 맛도 안나면 오래 두어서 약효가 없어진것으로 간주하고 새로운 약으로 ..

협심증 종류 안정형, 불안정형 등으로 분류하는데, 안정형 협심증은 적어도 2달 이상의 재생이 가능한 흉통이 운동이나 심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흉통이 좀 심하더라도 그 상태 그대로 몇분만 지속되고 약물치료만으로 끝나지만, 불안정형의 경우, 겪어보지 못한 새로운 흉통이거나 적은 운동량, 혹은 평상시에도 흉통이 발생하며, 특히 심근경색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 만약 15분 이상 지속되거나 흉통의 강도나 시간이 점차 악화되면 심근경색에 준한다고 보고 응급상황으로 간주한다. 다른 경우로 변이형 협심증이라는 증상이 있는데 이 경우엔 관상 혈관이 경련을 일으켜 피의 공급이 줄어들어 흉통이 발생되는 경우로, 주로 30~40대 남성, 이른 새벽에서 아침 8시 사이에 발생되는 흉통으로 심실 부정맥을..

알레르기 비염이란? 코 속의 점막에 염증이 생겨서 재채기나 코막힘, 콧물이 과도하게 흘러내리는 질환을 말한다. 크게 알레르기성 비염과 비알레르기성 비염으로 나뉜다. 비염 환자의 대부분은 알레르기성 비염에 해당된다. 또한 이중 다수가 축농증이 된다. 염증이 코 가운데에 발생한다고 착각하기 쉬운데 가운데가 아닌 코 겉쪽의 비갑개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이다. 비염을 단순히 콧물나고 가려운 증상 정도로 오인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는데 중증 비염은 고사하고, 코감기만 해도 괴롭다. 비염보단 증상이 덜하지만 콧물 흐르고, 코 막혀서 숨 못 쉬는 고통이 무지막지하다. 더 잔인한 것은, 코감기의 경우는 약을 먹으면 끝이지만, 그 외의 비염인 사람들은 그 고통을 평생 동안 달고 산다는 것이다. 그나마 콧물이나 코막힘이 일어..